본문 바로가기
금융상식

ETF 수수료 금융투자협회 전자공시로 비용 총정리

by 카드고수 2025. 2. 3.
반응형

요즘은 개별 주식 투자 보다 지수를 추종하는 ETF 투자를 많이 하시는데요.
오늘은 투자 하고자 하는 ETF의 총수수료에 대해서 알아보께요.

 


총보수 + 기타비용 + 매매중개수수료

ETF 별 수수료 내역을 금융투자협회 홈페이지에서 조회 가능합니다.
홈페이지에서 미래에셋으로 조회하면 아래와 같이 나오는데요.
여기에서 본인이 투자하고자 하는 ETF의 보수내역이 확인 가능합니다.
추가로 여기에서 핵심설명서와 약관 등도 확인 가능하니 참고하시구요.

 
말이 길어졌는데요 ETF 각각의 보수 별로 내역을 살펴 보면요.
 
1. 총보수의 구성
 
: ETF 총보수의 핵심이라고 할수 있어요.
 
- 운용보수 : ETF를 굴리는 사람의 월급(핵심 비용).
- 판매보수 : ETF를 판매하는 유통사 비용(일반적으로 적거나 없음). -> 지정참가회사보수로 표시 하는곳 있음.
- 수탁보수 : ETF 자산을 안전하게 보관하는 금고지기 비용.
- 사무관리보수 : ETF의 회계와 기록을 처리하는 행정비용.
 

반응형

2. 기타비용의 구성
 
: 거래비용 + 환전(환해지 비용 표시 안함) + 세금 + lp 비용
 
<거래비용>
ETF가 포트폴리오를 유지·조정하기 위해 주식, 채권, 선물 등을 사고팔 때 발생하는 비용.
- 구체적인 항목:
- 매매 시 지불하는 증권거래세.
- 매매 과정에서 발생하는 슬리피지(Slippage)
 
<세금 및 규제 준수 비용>
ETF가 투자 대상 국가에서 발생하는 세금과 법적 규제 준수에 드는 비용.
 
총보수에 기타비용을 더한 비용을 TER라고 표시 해요.
 
3. 매매중개수수료
 
- 상장 또는 주식 중개수수료 등, 레포 거래 중개수수료 등
 
ETF 수수료는 (총보수 + 기타비용) + 매매중개수수료로 이루어집니다.


그럼 ETF 보수는 왜 중요할까요?

 
- 총 보수는 ETF 가격에 미리 반영되므로, ETF를 오래 보유할수록 간접적으로 비용 부담이 커집니다.
- 총 보수가 낮은 ETF를 선택하는 것이 장기 투자 시 유리합니다.
 
오늘은 ETF 비용 확인하는 방법을 알아봤습니다.
 
각 ETF 항목은 하단 홈페이지 참고하세요.
똑같은 기초자산 추종 etf면 저보수가 장기투자에 유리하다는 점 기억합시다.
 

 

금융투자협회

dis.kofia.or.kr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