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새해가 되면 항상 하는게 있죠.
바로 한살 한살 먹는 나이 계산인데요.
오늘은 만나이와 연나이 계산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께요.
만나이 계산 방법
1. 만나이
공식:
- 생일이 지났다면: 현재 연도 - 출생 연도
- 생일이 지나지 않았다면: 현재 연도 - 출생 연도 - 1
특징:
- 국제적으로 사용되는 표준 나이 계산법
- 한국에서는 2023년부터 법적·행정적 기준으로 만나이를 사용
예시 (1984년생, 기준일: 2025년 1월 2일):
- 생일 전: 2025 - 1984 - 1 = 40살
- 생일 후: 2025 - 1984 = 41살
연나이 계산 방법
2. 연나이
공식:
- 현재 연도 - 출생 연도
특징:
- 한국에서 법률적 상황(병역법 등)에서 사용함.
- 생일을 기준으로 하지 않으며, 단순히 연도 차이로 계산
예시 (1984년생, 기준일: 2025년):
- 2025 - 1984 = 41살
세는나이 계산 방법
공식:
- 현재 연도 - 출생 연도 + 1
특징:
- 태어날 때 1살로 시작하며, 매년 1월 1일에 한 살을 더함.
- 현재 한국에서는 법적 기준에서 제외되었으나, 일상 대화에서 여전히 사용
예시 (1984년생, 기준일: 2025년):
- 2025 - 1984 + 1 = 42살
지금까지 만나이, 연나이, 세는나이 계산방법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1980년대 생들의 나이는 어떻게 되는지 아래에 정리해 봤으니 참고하세요.
- 만나이는 생일 기준으로 나이를 계산하며, 법적·행정적으로 사용
- 연나이는 연도만 고려해 계산하며, 일부 법률에서 활용
- 세는 나이는 전통적인 방식으로, 태어난 해를 포함해 나이를 계산
실질적으로 한국 사회에서 생활 전반은 만나이를 기준으로 이루어지는데요.
다만, 특정 상황(법률, 전통적 관습)에서는 여전히 연나이와 세는 나이도 사용되고 있으니, 상황에 따라 사용하시면 됩니다.
한살이라도 젊고 싶으면 만나이 사용을 하시죠 ^^
'금융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원 소비자물가지수 (Core CPI)와 근원 개인소비지출 물가지수 (Core PCE) 차이 (0) | 2025.02.02 |
---|---|
KODEX 미국30년국채액티브(H) 미국 국채 금리 확인 방법 (0) | 2025.02.02 |
위험자산의 기대수익률과위험(주식 투자하기 전 꼭 정하세요!!) (0) | 2025.02.02 |
연금저축계좌 및 퇴직연금(DC/IRP) 투자 가능상품 정리(ETF 등) (0) | 2025.02.02 |
ISA 계좌 주부 가입가능 여부 (0) | 2025.0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