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융상식

위험자산의 기대수익률과위험(주식 투자하기 전 꼭 정하세요!!)

by 카드고수 2025. 2. 2.
반응형

여러분은 투자에서 가장 중요한게 어떤거라고 생각하세요?

저는 투자 하기 전에

자산배분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예시) 주식 60%, 채권 30%, 리츠 10%, 금 10%


투자목표 설정(수익, 위험)

 

투자자산의 배분은 그럼 어떻게 하는걸까요?

먼저 목표수익률과 본인이 감내가능한 위험을 설정하여야합니다.

오늘은 투자목표(수익, 위험) 선정을 위한 투자자산별 기대수익과 위험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연 9% 수익, 17% 표준편차 설정

 

아래 내용은 투자 자산 상품별 기대수익률과 위험입니다.

자산별 기대수익과 위험을 참고하여 투자비율 설정을 통해서 본인만의 자산배분을 하는 투자를 하셨으면 합니다.

 

1. 주식 (Stocks)

• 기대수익률: 일반적으로 연 7-10% (역사적 평균 기준, 미국 주식 시장)

• 위험 (변동성): 높음 (연간 표준편차 약 15-20%)

 

2. 채권 (Bonds)

• 기대수익률: 연 2-5% (국채 기준, 회사채는 더 높을 수 있음)

• 위험 (변동성): 낮음에서 중간 (연간 표준편차 약 3-7%)

 

 

3. 에너지 (Energy, 예: 원유, 천연가스)

• 기대수익률: 변동성이 매우 큼, 연 5-15% 가능 (매우 변동성이 큰 시장)

• 위험 (변동성): 매우 높음 (연간 표준편차 30% 이상 가능)

 

반응형

 

4. 부동산 (Real Estate)

• 기대수익률: 연 6-8% (부동산 투자 신탁(REITs) 기준)

• 위험 (변동성): 중간 (연간 표준편차 약 10-15%)

 

 

5. 금 (Gold)

• 기대수익률: 연 2-3%

• 위험 (변동성): 중간에서 높음 (연간 표준편차 약 15-20%)

 

6. 현금 및 현금성 자산 (Cash and Cash Equivalents, 예: 단기 국채, 머니마켓펀드)

• 기대수익률: 연 0.5-2%

• 위험 (변동성): 매우 낮음 (거의 없음)

 

7. 암호화폐 (Cryptocurrency)

• 기대수익률: 매우 변동성이 큼, 연 20% 이상 가능하지만 큰 손실 가능성도 존재

• 위험 (변동성): 매우 높음 (연간 표준편차 50% 이상 가능)

 

지금까지 투자자산별 기대수익률, 위험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올웨더 포트폴리오 등 간단한 자산배분 투자기법도 있으니 참고 하시면 도움이 될듯하네요.

오늘도 여러분의 꾸자사모를 응원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