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융상식

주식 최대손실 MDD(Maximum Drawdown), 표준편차 의미

by 카드고수 2025. 2. 16.
반응형

주식 투자에서 성공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수익률만을 고려하는 것이 아니라, 리스크 관리 또한 필수적입니다. 투자 성과를 평가할 때 활용되는 다양한 지표 중 MDD(Maximum Drawdown)와 표준편차(Standard Deviation)는 투자 리스크를 측정하는 중요한 지표로 활용됩니다.

MDD는 투자 자산이 일정 기간 동안 기록한 최고점에서 최저점까지의 하락 폭을 나타내며, 투자 포트폴리오의 최대 손실을 측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반면, 표준편차는 수익률의 변동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변동성이 클수록 리스크가 크다고 평가됩니다.

이러한 개념을 이해하는 것은 안정적인 투자 전략을 수립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따라서 이번 글에서는 MDD와 표준편차의 개념과 그 의미를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MDD (Maximum Drawdown)

반응형

mdd는 투자 기간 동안 포트폴리오의 최고점(최대 자산 가치)에서 최저점(최저 자산 가치)으로의 최대 하락폭을 의미합니다.

즉, 가장 큰 손실이 얼마나 컸는지를 나타내는데요.

- 투자 리스크를 측정하는 데 사용되며, 특히 하락 시장에서 중요하게 평가되구요.

- 단위: 퍼센트(%)로 표시 됩니다.

 

코스피 지수를 예를 들어서 보시죠

 

* 최대 하락 :

- 9월 1일 코스피가 1,800까지 하락.

- 최고점(2,300)과 최저점(1,800) 간의 차이:

2,300 - 1,800 = 500 .

- MDD = 500/ 2300 * 100 = 21.74%


표준편차 (Standard Deviation)

 

표준편차는 수익률의 변동성을 측정하는 지표로, 평균 수익률로부터 수익률이 얼마나 벗어나 있는지를 나타냅니다.

- 변동성이 큰 투자일수록 표준편차가 큼.

- 투자 자산의 전반적인 리스크를 정량적으로 평가 가능.

- 단위: 수익률 기준(%)로 표시.

- 상승과 하락 모두를 포함한 전반적인 변동성을 반영합니다.

 

오늘은 주식 투자할때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mdd와 표준편차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종목 선택 후 투자 시 포트폴리오 비중 조정으로 본인에게 감내가능한 mdd 조정하시는거 체크 하시구요.

내일은 상승으로 마무리 되는 국내장이 되었으면 합니다.

 

* 똑똑한 카드 마스터의 다른 글 * 

 

[금융상식]한국 투자자가 미국주식 거래는 어떻게 진행될까 (인터브로커와 DTCC 완벽 정리)

미국 주식에 투자하는 한국 투자자들이 점점 늘어나면서, 거래의 안정성과 효율성을 책임지는 여러 기관의 역할이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특히, DTCC(Depository Trust & Clearing Corporation)는 미국 금융

16yman.tistory.com

 

 

ISA 계좌 편입 가능 금융상품(엔비디아 매수 가능할까?)

현재 저는 토스 증권 위탁 계좌로 SCHD를 모으고 있는중인데요.조만간에 ISA계좌를 만들어서 포지션을 변경할 예정입니다.현재 ETF 분배금에 세금을 부과하는 이슈가 있어서 문제가 많습니다.오늘

16yman.tistory.com

 

 

[금융상식]ETF 수수료 금융투자협회 전자공시로 비용 총정리

요즘은 개별 주식 투자 보다 지수를 추종하는 ETF 투자를 많이 하시는데요.오늘은 투자 하고자 하는 ETF의 총수수료에 대해서 알아보께요. 총보수 + 기타비용 + 매매중개수수료ETF 별 수수료 내역

16yman.tistory.com

 

반응형